메뉴 바로가기 내용 바로가기
제목
제목 [보도자료] 여름철 별자리와 7월의 은하수 그리고 소련의 인공위성
작성자 박현규 조회수 19395 작성일 2015-08-03

※ 사진, 한글 문서 첨부

 

<여름철 별자리와 7월의 은하수 그리고 소련의 인공위성>


11호 태풍 낭카의 영향으로 전국에 대체로 구름이 많고 흐린 오늘과 달리, 어젯밤 전라남도 고흥에는 무수히 많은 별이 여름 밤하늘을 수놓았다.

산과 바다 그리고 은하수가 어우러진 모습은 그 자체가 예술이다. 미려한 은하수를 카메라에 담다 보면 황홀경에 도취하여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것을 잊어버리곤 할 정도다.

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가기 하루 전에 이렇게 아름다운 은하수를 만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. 여름에는 습도가 높고 장마가 시작되기 때문에 여간하여서는 은하수를 만날 수 없다. 그래서 어제 만난 은하수는 더욱 반가운 존재였다.

사진을 열어보니 7월의 은하수를 담은 사진 속에는 여름철 별자리도 들어와 있었다. 이 사진이 더욱 특별한 것은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명명한 '망원경자리'도 화폭에 들어왔기 때문. 망원경자리는 우리나라 남쪽 지평선에도 일부만 보이는 별자리인데(고흥 기준 최대고도: 6도 30분 미만), 북반구에 살았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어떻게 남반구 별자리인 망원경자리를 발견했을까?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8세기 중엽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까지 찾아가 남반구 밤하늘을 관측했는데, 망원경자리도 그때 관측한 별자리 중 하나이다.

마지막으로 소개할 사진 속에는 인공위성이 은하수 옆을 지나가고 있는 흥미로운 사진이다. 사진 속 인공위성은 SL-16 R/B 이다. SL-16 R/B는 1992년 12월 25일 소련(USSR)이 발사했으며, 궤도 속도는 초속 7.31km이다.

이날 밤하늘에는 은하수와 인공위성 외에 유성우도 종종 관측됐다. 다음 달에 있을 우주 이벤트 <페르세우스 유성우>의 예고편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멋진 유성우들이 설레게 했다.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절정에 달하는 8월 12일에도 은하수가 펼쳐지길 바라본다.

페이지 정보 및 만족도 평가하기

게시물 내용을 평가해 주세요

담당자 정보  |  이 페이지의 내용을 담당하는 담당자 정보입니다.

담당부서
: 우주활동부
담당자
: 이슬비
연락처
: 061-830-1588